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일단 컴퓨터 전원을 켜기만 하면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여러가지 원격 제어 프로그램 (윈도우의 원격 데스크톱, 넷미팅, UltraVNC, 데이콤 네트로, 각종 메신저에 포함된 원격 제어 기능 등) 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회사 뿐만 아니라 개인 사용자들도 Wake On LAN 을 많이 사용합니다.
원격으로 컴퓨터 전원을 켠다고 하니 뭔가 대단한 기술과 복잡한 절차가 필요할 것 같지만 Wake On LAN 의 원리와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
Wake On LAN (WOL) 을 지원하는 하드웨어를 사용하면서 바이오스 (BIOS, Basic Input Output System) 셋업 메뉴의 Wake On LAN 항목을 활성화시켜놓으면 컴퓨터를 끈 상태에서도 랜카드에 대기 전원이 흐릅니다. 이 때, 원격 컴퓨터에서 매직 패킷 (Magic Packet) 이라 불리우는 특정한 값을 가진 패킷을 상대 컴퓨터에 전송하면 대기하고 있던 랜카드가 이를 감지하고 상대 컴퓨터의 전원을 켜게 되는 것입니다.
이 때 원격 부팅될 컴퓨터의 식별은 IP 주소가 아니라 랜카드의 고유한 주소인 맥 어드레스 (MAC Address) 를 이용합니다. 맥 어드레스는 IP 주소처럼 랜카드가 가지고 있는 세계에서 유일한 식별 주소입니다. 맥 어드레스를 확인하려면 '시작 - 프로그램 - 보조프로그램 - 명령 프롬프트' 를 선택하거나 '시작 - 실행 - cmd' 를 실행한 후 명령 라인에서 'ipconfig /all' 을 입력합니다.
원격으로 컴퓨터를 부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즐거운 컴퓨터고난기록기
1. 원격으로 부팅될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Wake On LAN (WOL) 을 지원해야 합니다.
최근 대부분의 컴퓨터는 Wake On LAN 을 지원합니다. 다만 펜티엄4 초기 모델과 그 이전의 제품을 사용하는 분들은 Wake On LAN 을 사용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.
- 메인보드가 PCI 2.2 를 지원하는가 : PCI 2.2 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메인보드에 랜카드와 연결되는 WOL 3핀 단자가 있어야 합니다.
- 랜카드가 Wake On LAN 을 지원하는가 : PCI 2.2 를 지원하지 않는 메인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랜카드에도 메인보드와 연결될 WOL 3핀 단자가 있어야 합니다. 메인보드 내장랜은 대부분 3핀 단자없이 Wake On LAN 을 지원합니다.
- 메인보드가 PCI 2.2 를 지원하지 않으면 앞서 말한 것처럼 메인보드의 3핀 단자와 랜카드의 3핀 단자를 3핀 케이블로 연결해야 합니다.
- ATX 2.01 규격 이상의 파워서플라이 (Power Supply, 전원공급기) 를 사용하고 있는가 : 5VSB 에서 720mA 이상 출력되는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해야 합니다.
2. 원격으로 부팅될 컴퓨터의 바이오스 (BIOS) 셋업에서 'Wake On LAN' (WOL) 을 활성화 ('Enabled') 시킵니다.
3. 원격 컴퓨터에서 -> 부팅될 컴퓨터로 매직 패킷 (Magic Packet) 을 전송합니다.
- 부팅될 컴퓨터가 IP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으면 공유기 자체에서 공유기 원격 제어와 Wake On LAN (WOL) 을 지원해야 합니다. 원격으로 해당 IP 공유기에 접속한 다음, 공유기의 Wake On LAN 메뉴에서 부팅될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랜카드의 맥 어드레스 (MAC Address) 를 입력합니다. 그리고 매직 패킷을 전송하면 컴퓨터가 부팅됩니다.
- 부팅될 컴퓨터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음에도 공유기에서 Wake On LAN 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매직 패킷이 전송될 특정 포트를 포트 포워딩 (Port Forwarding) 해야 합니다.
- 원격으로 부팅될 컴퓨터가 IP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로컬 안이면 매직 패킷 전송 프로그램에서 맥 어드레스 (MAC Address) 를 입력하고 매직 패킷을 전송합니다.
당연한 이야기지만 컴퓨터 멀티탭의 파워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으면 Wake On LAN 이 동작하지 않습니다. 또한 설치된 운영체제 (특히 윈도우 계열) 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종료된 경우에도 Wake On LAN 이 잘 동작하지 않습니다.
(참고 : http://en.wikipedia.org/wiki/Wake-on-LAN, http://www.compute-aid.com/atxspec.html)
'하드웨어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워쓰는 버티컬마우스3, 휠 버튼 내구성에 문제있다? (5) | 2008.01.15 |
---|---|
해피 해킹 키보드 라이트 2 (Happy Hacking Keyboard Lite 2) 사용기 (4) | 2007.11.19 |
Wake On LAN (WOL), 원격으로 컴퓨터 켜기 (2) | 2007.11.17 |
닳은 마우스 바닥, 마우스 스케이트 (Mouseskates) 로 새 것처럼 만들자 (2) | 2007.11.06 |
E-IDE 80선 케이블, 40선 케이블 구별법 (5) | 2007.11.02 |
NEC USB 2.0 PCI 카드 (4) | 2007.10.23 |
[구독] : 이 블로그를 즐겨찾기에 추가하고, 더 많은 컴퓨터 정보를 얻으세요.
[태그] :
IPCONFIG,
Mac address,
Magic Packet,
Wake On Lan,
WOL,
매직패킷,
매직패킷 전송 프로그램,
맥 어드레스,
원격 전원 관리,
원격부팅,
원격시동,
원격시작,
원격접속,
원격제어